본문 바로가기

자가면역질환

(6)
자가면역질환 예방 / 메티오닌 섭취를 줄이자. 메티오닌 섭취 줄이면 자가면역질환 예방, 치료에 도움 필수 아미노산의 하나인 '메티오닌' 섭취를 줄이면 자가면역 질환의 발생, 진행을 지연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밴 앤델 연구소의 러셀존스 교수 연구팀은 메티오닌은 건강한 면역체계 유지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면역체계의 과잉반응을 유발해 자가면역질환 위험을 높이고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발표했다. 메티오닌은 병원균과 싸우기 위해 출동하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증식과 특정 하위세포의 분화를 촉진, 지나친 염증반응에 의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자가면역질환의 하나인 다발성 경화증의 생쥐들에게 메티오닌 섭취를 크게 줄인 결과, T세포의 재프로그래밍에 변화가 나타나면서 뇌, 척수에 염증을 일으키는 T세포의 능력이 ..
하시모토 갑상선염 ■ 하시모토 갑상선염이란 가장 흔한 갑상선질환이자 자가면역질환 중의 하나로 갑상선 기능저하증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갑상선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않아 갑상선호르몬 농도가 저하된 상태로 만성 피로, 식욕 부진, 체중 증가, 추위를 타나는 것, 변비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여자의 경우, 생리 주기가 변할 수 있고, 월경 과다가 동반되기도 한다. 하시모토 갑상선염(갑상선기능 저하증)의 환자들 대부분은 갑상선의 크기만 커졌을 뿐 기능은 정상적이다. 환자의 1/3은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나타내며, 절반 이상은 갑상선 기능이 정상이다. 다만,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일단 발생하면 없어지지 않는다. ■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증상 1. 갑상선 부위가 크고 단단하다. (갑상선 크기가 크다고 반드시 갑상선기..
싸이토카인(cytokine)이란 싸이토카인 = 사이토카인 = 시토카인 = cytokine ■ 싸이토카인(cytokine)이란 면역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 면역조절제(주로 백혈구에서 분비)로서 세포의 증식, 분화, 세포사멸 또는 상처 치료 등에 관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사이토카인이 존재하며, 특히 면역과 염증에 관여하는 것이 많다. 활발한 면역반응은 사이토카인을 과잉으로 생성시키고, 과량의 사이토카인은 젊고 건강한 사람에게 독이 될 수 있다. ■ 주요 싸이토카인의 종류와 기능 생산세포 시토카인 주요 기능 대식세포 IL-1 • 염증반응의 야기, 발열(⇒내인성 발열물질) • 림프구 · 호중구의 활성화 IL-6 • 급성기 단백(CRP 등)의 생산촉진 • B세포의 분화 · 항체생산의 증가 IL-8 • 호중구의 유주 · 활성화(⇒케모카인) IL-..
자가면역질환 예방하는 5가지 생활습관 우리 몸의 면역계는 백혈구, 대식세포와 같이 이미 존재하는 자연면역계와 항체에 반응해 항원을 만드는 획득면역계가 있다. (면역계 = 자연면역계 + 획득면역계) 획득면역계는 감염된 아군, 적군을 가리지 않고 다 죽이는 킬러 T세포와 이를 돕는 헬퍼 T세포가 있다. 이 헬퍼 T세포의 균형이 깨지면 자기 자신을 공격하게 된다.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80%이상이 '장'에 있다. '장'의 기능에 이상이 있다면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면역세포의 기능이상을 일으킨다. 떨어진 장의 기능을 위해서는 균형잡힌 식생활, 운동이 필요하다. 특히, 운동은 면역세포의 흐름을 활발하게 하는데 하루 1, 2회 햇볕을 쬐면서 10~20분 정도 빨리 걷기만 해도 스트레스가 줄고 면역력이 높아진다. 스트레칭, 가볍게 걷기보다는 짧..
자가면역질환에 좋은 / 나쁜 음식 자가면역질환이란? 백혈구가 우리 몸의 정상 세포를 적으로 착각해 공격하는 질환으로 공격당한 세포는 염증이 생긴다. 아토피, 비염, 천식,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등이 있다. 자가면역질환의 원인 모든 세포 사이에는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세포막 안테나(세포막 수용체)가 있다. 이 세포막에서 '혈전'이 덮여 세포막 안테나가 둔해지고 손상되면 세포 사이에 정보교환이 어려워진다. 이렇게 되면 공격할 필요가 없는 몸으 정상세포를 공격하여 '자가면역 질환'이 생기게 된다. 자가면역질환의 나쁜 음식 1. 단순 당질 - 몸에 해로운 탄수화물(복합당질에 비해 몸에 좋은 비타민, 미네랄 등이 적고 칼로리만 높다.) - 흰쌀, 밀가루, 백설탕 그리고 이것으로 만든 빵, 과자, 떡, 초콜릿, 약과, 한과 등 ..
반복유산의 원인 ※ 개인적으로 아래의 출처 자료를 참고해 간략히 요약한 글입니다. 반복유산의 원인 유전적 요인, 해부학적 요인, 내분비적 요인, 감염적 요인, 혈전형성 요인, 면역적 요인, 기타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확실한 원인으로 알려진 것은 '유전적 요인, 혈전형성 요인' 2가지 뿐이다. 나머지 요인들은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기도 하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가 전체의 50%에 이른다는 주장도 있으나 이들 대부분이 '면역이상에 의한 유산(면역학적 요인)'으로 추정된다. ● 유전적 요인 부부 중 한쪽 또는 양쪽에서 유전자/염색체가 이상이 있는 경우 1. 염색체 이상 - 부모의 염색체에 균형전위가 존재하는 것이 가장 흔한 유형으로 수정된 배아에 염색체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다. - 비정상 ..